Korean English Japanese Chinese (Simplified) Chinese (Traditional)

 

 

 

The post is in Korean. If you have difficulty in Korean, please click on a globe located top of the site to translate it into your language:

 

 

 

 

 

 


 

 

 

개요, 시험 정보

 

 

지난 3년간의 숙원이자 이번 24-2~25-1학기 일본 교환학생 기간동안의 버킷리스트 중 하나였던 일본의 국가자격증 「データベーススペシャリスト」, 한국어로는 "데이터베이스 스페셜리스트"라는 시험을 보는 것을 드디어 10월 13일부로 달성하였다. 합격 여부에는 그렇게 큰 관심은 없다. 그동안 일본어를 공부해왔고, 데이터베이스와 그 업무에 관한 도메인 지식을 쌓고, 그렇게 쌓아온 경험과 지식을 모두 이번 시험에서 미련없이 쏟아부은 시점에서 나는 이미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최근 시스템의 DX 추진 및 디지털화로 매우 바쁜 일본은 정보기술 분야에서의 여러 방면의 인재들을 발굴하고 검증하기 위해 IPA라는 기구에서 각종 국가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이 국가시험에는 레벨이 총 4레벨로 나누어져 있는데,

각각 "IT패스포트"라는 시험은 레벨 1, 

"기본정보기술자"와 "정보 시큐리티 매니지먼트" 라는 시험은 레벨 2,

한국의 "정보처리기사"와 상호 호환이 가능한 "응용정보기술자" 시험은 레벨 3,

그리고 본인이 이번에 수험했던 "데이터베이스 스페셜리스트"를 포함해 네트워크나 엠베디드 시스템 등 각종 분야에서의 전문가급 지식과 실무 경험을 요구하는 시험들이 레벨 4에 속한다. 

 

참고로 2024년 10월 25일 기준의 내가 알기로는 이 레벨 4에 속하는 시험은 모두 영주권 심사에 있어서도 무려 10점의 가산점이 인정되는, 일본 이주를 고려할 경우 큰 메리트가 있는 자격증인 것이다. 

 

 

 

 

하지만 시험의 난이도는 꽤 높은 편으로, 합격률은 큰 틀에서 8%~18%정도로 변동하는 등 쉽지 않은 시험이다. 심지어 시험이 1년에 단 1회 시행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시험 공부를 위해서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스페셜리스트는 총 4개의 시험에서 모두 합격점(60점)을 넘어야 한다. 

 

오전 9시 30분부터 오전 10시 20분까지 진행되는 오전 1 시험, 오전 10시 50분부터 오전 11시 30분까지 진행되는 오전 2 시험은 모두 객관식 문항으로 출제되었다. 반면 오후 12시 30분부터 오후 2시까지 진행되는 오후 1 시험과 오후 2시 30분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진행되는 오후 2 시험은 본격적으로 지식의 응용과 실무 감각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10월 13일에 실시되었던 레이와 6년 (2024)년 데이터베이스 스페셜리스트 시험의 모든 기출문제는 IPA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https://www.ipa.go.jp/shiken/mondai-kaiotu/2024r06.html

 

問題冊子・配点割合・解答例・採点講評(2024年度、令和6年度) | 試験情報 | IPA 独立行政法人

情報処理推進機構(IPA)の「問題冊子・配点割合・解答例・採点講評(2024年度、令和6年度)」に関する情報です。

www.ipa.go.jp

 

10월 25일 시점으로, 오전 시험의 답안은 공개되었으나 오후 시험의 최종 답안은 12월 24일에 발표된다.

 

 

 

 

문제 분석

 

 

오전 1 (9:30~10:20)

 

기출문제: https://www.ipa.go.jp/shiken/mondai-kaiotu/m42obm000000afqx-att/2024r06a_koudo_am1_qs.pdf

해답: https://www.ipa.go.jp/shiken/mondai-kaiotu/m42obm000000afqx-att/2024r06a_koudo_am1_ans.pdf

 

응용처리기술사 시험의 과거문(5개년분)을 푼다면 어렵지 않게 오전 1 시험을 통과할 수 있다. 시험장에서는 문제 1번 AI에 있어서 교사학습의 교차검증(AIにおける教師あり学習での交差検証)에 관한 문제를 제외하면 10번 문제까지는 모두 과거문에서도 출제된 문제들이었다. 걱정했던 것과는 별개로, 네트워크 부문과 시큐리티 부문에서 모두 평이한 문제들이 출제되어 점수를 챙길 수 있었다. 30개의 문제 중 18개 이상을 맞추면 통과이다. 

 

 

오전 2 (10:50~11:30)

 

기출문제: https://www.ipa.go.jp/shiken/mondai-kaiotu/m42obm000000afqx-att/2024r06a_db_am2_qs.pdf

해답: https://www.ipa.go.jp/shiken/mondai-kaiotu/m42obm000000afqx-att/2024r06a_db_am2_ans.pdf 

 

오전 2 시험 역시 과거문(5개년분)을 미리 풀고 공부하고 간다면 어렵지 않을 것이다. 다만, 네트워크나 IT서비스 매니지먼트, 법무 등 여러 부분에서 제네럴리스틱하게 깊이가 다소 얕게 출제되는 오전 1 시험과 달리, 오전 2 시험은 데이터베이스에 관해 비교적 높은 수준의 지식을 요구하는 문제가 18개, 그 외 시스템 아키텍처나 시큐리티 등 다른 분야의 문제가 7개 출제된다.

 

트위터나 수험자 커뮤니티 등을 참고한 결과 오전 2 시험은 예년과 달리 다소 어렵게 출제되었다고 한다. 그 이유는 SQL의 시퀀스에 대한 지식을 묻는 1번 문제나 전치 인덱스에 관한 4번 문제, 그리고 일반적인 참고서에도 나오지 않는 MVCC모델에 관한 지식을 묻는 14번 문제 등 예년과는 다른 유형의 문제가 출제되었기 때문이다.

 

 

MVCC 모델에 관한 지식을 묻는 14번 문제. MVCC 모델은 오라클에서 처음 개발하였고, 이후 PostgreSQL이나 MySQL에서도 이 모델을 이용 가능하게 업데이트하였다. MVCC 모델에서는 조회 시 바로 그 시점에서의 데이터 값을 대기 없이 참조할 수 있다. 그러므로 イ、ウ 선택지는 소거된다. 반면 2相ロッキングプロトコル에서는 갱신 중인 데이터를 조회하려 할 때 갱신이 Commit 혹은 Rollback될 때까지 대기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エ 선택지 또한 소거되어, 정답은 ア가 된다.

 

아무튼,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 없이 기출문제만 풀어서는 오전 2 시험에 대한 대책이 어렵다. 참고서로서, 내가 이 시험을 준비할 때 공부했던 책을 잠깐 소개한다:

 

情報処理教科書 データベーススペシャリスト 2024年版 | ITのプロ46, 三好 康之 | コンピュータ・

【本電子書籍は固定レイアウトのため7インチ以上の端末での利用を推奨しております。文字列のハイライトや検索、辞書の参照、引用などの機能が使用できません。ご購入前に、無料サンプ

www.amazon.co.jp

 

 

그 외에 오전 2 시험에서 느낀 특이사항은 없었다. 시큐리티 문제는 블록체인이나 베이지안 필터에 관한 지식을 묻는 등 다소 평이한 편이었고 시스템 아키텍처에 관한 문제 역시 아예 처음 들어보는 RAID5+0 구조에 관한 문제를 제외하면 모두 과거문에도 출제된 적이 있는 문제거나 난이도가 높지 않았다. 

 

 

 

 

오후 1 (12:30~14:00)

 

기출문제: https://www.ipa.go.jp/shiken/mondai-kaiotu/m42obm000000afqx-att/2024r06a_db_pm1_qs.pdf

 

오후 1는 3개의 문제가 출제되며, 그 중 2개의 문제를 선택하여 푸는 방식이다. 시험지에도 반드시 내가 선택하려는 문제의 번호에 체크를 해야 한다. 1번 문제는 ERD와 테이블을 논리적으로 설계하는 문제가 출제된다. 2번 문제는 업무 상황에 맞춰 SQL문을 작성하고 인덱스를 설계하는 문제가 출제된다. 3번 문제는 현재 진행중인 업무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성능 향상을 위한, 물리적 설계에 관한 문제가 출제된다. 

 

나는 2번, 3번 문제를 선택하였다. 

2번 문제에서 출제된 SQL 문을 작성하는 문제는 예년과 비슷하게 평이했다. 하지만 데드록이 발생할 경우를 유추하는 문제 또한 출제되었는데,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데드록의 발생 상황에 대한 이해와 그 응용능력이 필요하다. 

3번 문제는 다소 어렵게 느껴졌는데, 예년 출제 기조에서는 페이지 등 통계정보에 관한 주제의 문제와 인덱스 설계에 관한 문제는 각각 따로 출제되었지만 이번에는 이 둘이 혼합된 문제가 출제되어 어려움을 겪었다. 

 

 

올해 오후 1 시험 2번 문제의 주제는 종합상사의 노무관리 시스템에서의 근태관리기능이다.
3번 문제의 주제는 프로젝트의 가동관리 시스템에 관한 이해와 성능개선이다.


 

 

오후 2 (14:30~14:30)

 

기출문제: https://www.ipa.go.jp/shiken/mondai-kaiotu/m42obm000000afqx-att/2024r06a_db_pm2_qs.pdf

 

오후 2는 2개의 문제가 출제되며, 그 중 1개의 문제를 선택하여 푸는 방식이다. 1번 문제는 물리적 설계에 대한 문제가 출제되고, 2번 문제는 논리적 설계에 관한 문제가 출제된다. 나는 1번 문제를 선택하였다. 

 

올해 1번 문제에서의 태스크는 크게 업무 분석, AP 이해, 배치처리의 스케줄 이해, 상황에 맞는 스케줄 설계, 전체 시스템 성능 개선을 위한 작업으로 분류하여 이해할 수 있다.

 

사실 앞전 오후 1 시험이 장장 90분에 걸친 시험이었기 때문에 오후 1 시험을 마쳤을 시점 이미 레드불을 2캔이나 섭취한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피곤한 상태였다. 심지어 연세가 지긋하신 앞자리의 수험자는 오후 1 시험이 끝나자 바로 귀가하실 정도였다.

 

트위터나 수험자 커뮤니티 등을 참고한 결과 오후 2 시험의 난이도는 의외로 예년과 비슷한 정도라고 한다. 하지만 나는 이미 지친 심신 때문인지 설문 1번의 (2)번에서 무려 40분 가까이 시간을 낭비하는 대참사를 내버리기도 했다. 

 

올해 문제 1번에는 자동차 오토리스회사의 차량보수작업의 데이터베이스를 실장 및 운용에 관한 문제가 출제되었다.
이 곳이 대참사가 발생했던 구간이다... 롤백과 롤포워드의 개념에 대한 이해, 롤백과 롤포워드가 수행되는 범위에 대한 완벽한 이해, 뿐만 아니라 리커버리에 사용되는 페이지를 계산하는 계산능력까지 요구된다.

 

 

 

오후 1, 오후 2 문제를 풀 때 참고서에서 봤던 큰 팁이 하나 있다. 문제의 주제(컨셉)을 확인한 후, 바로 설문 페이지로 이동한다. 각 설문에서 묻고 있는 주제를 확인하고, 다시 문제문의 페이지들과 그것을 대응시키며 설문 블록을 만든다. 그리고 그 설문 블록들을 따로따로 풀어나가는 것이다. 

 

  • 이번 오후 2 시험을 예시로 비유하자면, 시험이 시작되자마자 먼저 설문 부분을 확인하러 간다:
설문 주제
1 현행배치처리의 백업 및 리커버리
2 배치처리의 온라인 시간대로의 이행
3 이행후의 운용설계

 

  • 설문의 번호와 주제를 확인했으면, 다음에는 문제문의 주제와 페이지 위치를 확인한다:
[차량보수 시스템의 개요] 6p~10p
[RDBMS의 주요한 사양] 10p~12p
[현행배처처리의 백업 및 리커버리] 12p~14p
[배치처리의 온라인 시간대로의 이행] 14p~16p
[이행후의 운용설계] 16p~17p

 

이 중, [차량보수 시스템의 개요]와 [RDBMS의 주요한 사양] 부분은 모든 설문을 풀기 위해서 꼭 알아야 하는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놓치는 부분 없이 꼭 숙독을 해야 한다. 


 

 

 

If you like this post, please give me a ❤️...!
 
✰Popular Posts✰
✰Recent Posts✰
 

❤ Seoul, Daejeon, Tokyo, Fukuoka
Site developed by Ryu Hyunwoo